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재테크

고령농업인의 노후준비방법, 농지연금 알아보기

65세 이상 농업인의 노후준비 방법 ; 농지연금 알아보기!

누구나 은퇴 후 '돈 걱정 없는 노후 생활 30년'을 바란다! 자식들에게 손 벌리지 않고 내 힘으로 당당하게 노년을 즐기는 삶. 누가 꿈꾸지 않으랴? 하지만 세월이 흐를 수록 노후 자금을 준비하기에 빡빡한 현실. 치솟는 물가와 내릴 줄 모르는 집 값, 자녀 교육 및 양육비용에 노후 준비까지- 숨이 막힌다. 여기에, 나이 드신 부모님의 생활비까지 드려야 하는 상황이라면 첩첩산중! 


수입이 일정하지 않은 농사를 짓는 부모님을 둔 자녀분들이라면 더욱 걱정이 많을텐데, 다행이 고령농업인을 위한 '농지연금' 노후 제도가 있다. 물론, 신청 자격에 해당되어야 하고 소유한 농지에 따라 지급 금액에는 차이가 있는데 한 번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모든 정보는 알아둬서 나쁠 게 없으니까-




"농지연금제도란 무엇인가요?"

'농지연금'은 만 65세 이상의 고령농업인을 대상으로한 새로운 연금 제도를 말한다. 농업인이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노후 생활에 필요한 자금을 매월 연금 형태로 지급 받는 것이다.



"농지연금 신청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1. 연령(나이)

    - 농지연금 신청 연도의 말일을 기준으로 농지를 소유한 본인의 나이가 만 65세 이상이어야 한다. (농업인이어야 함)

2. 영농경력

    - 농지연금 신청인의 영농 경력이 5년 이상이어야 함

      영농경력은 연속적일 필요는 없으며, 영농 기간이 합산해 5년 이상이면 된다. 

3. 대상농지

    - 토지의 주된 사용 목적이 전, 답, 과수원으로서 '실제 영농에 이용중인 농지'어야 한다.

      ※ 신청자 본인 소유의 농지, 저당권 및 제한 물권이 설정되지 않은 농지, 압류/가처분/가압류 등이 아닌 농지



"농지연금 지급은 어떤 방식이 있나요?"

  1. 종신형 : 가입자(배우자) 사망시까지 매월 일정한 금액 지급 방식
  2. 기간형 : 가입자가 선택한 일정 기간 매월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는 방식

  '기간형' 지급 방식 선택 시, 매월 받는 월지급금이 '종신형'보다 많다.


"농지연금 지원 절차"

"농지연금의 장점은 무엇일까?"

  1. 연금을 받으면서 담보한 농지를 직접 경작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금 이외의 추가 소득을 얻을 수 있다.
  2. 농지연금을 지급 받던 농업인이 사망할 경우, 배우자가 사망시까지 지속해서 연금을 받을 수 있다.
  3. 연금채무 상환 시, 담보한 농지를 처분 후 상환하고 남은 금액이 있을 경우 상속인에게 돌려주며- 부족하더라도 더 이상 청구하지 않는다.
  4. 정부 예산을 재원으로 해 안정적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다.


매번 농사가 잘되는 것이 아니기에, 막막했을 농업인들의 노후 준비! '농지연금제도'를 통해 어느 정도 고령농업인들의 노후 자금 마련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물론, 이마저도 담보할 농지가 없는 농업인의 경우엔 해당 사항이 없는 것이 안타깝지만 말이다. 앞으로 복지 정책이 개선 및 향상되어 노년에 폐지 줍는 인구가 줄어들고, 나아가 언젠가는 OECD 노인빈곤율 최하위에서 최상인 나라가 되길 바란다.